[심플] 미국 & 주식
[미국] 트럼프 1기 vs 2기 관세정책
bodas2
2025. 1. 31. 12:21
반응형
안녕하세요. bodas2입니다 오늘은 트럼프 1기 vs 2기 관세정책에 대해서 포스팅합니다.
1. 트럼프 1기(2017~2021년) 관세 정책
✅ 주요 내용
- 중국과의 무역 전쟁: 2018년부터 중국산 제품에 대해 단계적으로 고율 관세(최대 25%) 부과
- 철강·알루미늄 관세: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(25%), 알루미늄(10%) 관세 부과
- 자동차 관세 위협: 유럽 및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25% 관세 검토(최종 부과는 안 됨)
- USMCA(북미무역협정 개정): NAFTA를 개정해 미국·멕시코·캐나다 협정(USMCA) 체결
❌ 부작용
- 미국 소비자 부담 증가: 관세로 인해 제품 가격 상승
-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확대: 공급망 혼란 및 기업 투자 위축
- 중국의 보복 관세: 미국산 제품에도 보복 관세 부과, 농업 및 제조업 타격
2. 트럼프 2기(2025~2029년 예상) 관세 정책
트럼프가 1기보다 더 강력한 관세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큽니다.
✅ 예상 내용
- 중국 제품에 추가 관세: 중국산 제품에 대해 60% 이상 관세 부과 가능성
- 멕시코·EU에도 관세 확대: 멕시코산 제품, 유럽산 자동차 및 철강 제품에 추가 관세 검토
- 보호무역주의 강화: 미국 내 제조업과 일자리 보호를 위한 강력한 무역 장벽
- WTO(세계무역기구) 탈퇴 가능성: 다자 무역 시스템에서 벗어나 미국 중심의 무역 질서 구축 시도
❌ 예상 부작용
- 기업 및 소비자 부담 증가: 더 높은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
- 무역 전쟁 심화: 중국 및 유럽의 강력한 보복 조치 예상
- 글로벌 경제 불안정: 공급망 교란 및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
3. 결론: 트럼프 2기의 경제 전망은?
트럼프 1기 동안의 관세 정책은 미국 내 산업 보호 효과가 일부 있었지만, 소비자 부담 증가와 글로벌 경제 혼란을 초래했습니다.
일단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월 1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25%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입니다.
앞으로 2기에서는 더욱 강력한 관세 조치가 예상되며,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그의 관세 정책이 어떻게 전개될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.
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반응형